최근 저출산·고령화 시대에 발맞춘 정년연장 논의가 가속화되면서 임금체계 개편이 화두로 급부상했다. 정년연장의 현실적·물리적 제약을 없애기 위해선 임금체제 개편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구체적인 개편 방안으론 유교 문화에서 파생돼 한국 사회에 뿌리 깊게 박혀 있는 호봉제 대신 직무급제나 성과연봉제를 채택하는 것이 가장 많이 지목됐다. 호봉제는 근속연수에 따라 직위가 높아지고 매년 일정 비율로 연봉을 올려주는 제도다. 직무급제·성과연봉제는 나이·성별·연차에 상관없이 직무 난이도나 성과에 따라 연봉을 책정하는 임금체계다.
경제계, 노동계 등에 따르면 저출산·고령화가 심화되면서 기업과 근로자 모두 정년연장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이미 공감대가 형성된 상태다. 동시에 지금 상태로는 정년연장을 섣불리 결정하기 어렵다는 점에 대해서도 같은 목소리를 내고 있다. 이유는 각자 다르다. 기업은 현 시점에서 정년만 늘릴 경우 인건비 부담이 크게 늘어 신규채용이나 투자 여력이 줄어 결국 경쟁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근로자는 새로운 인력 유입이 줄어 근로강도가 세지고 기존의 처우마저 하락할 것을 걱정하고 있다.
경제계, 노동계 등에 따르면 저출산·고령화가 심화되면서 기업과 근로자 모두 정년연장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이미 공감대가 형성된 상태다. 동시에 지금 상태로는 정년연장을 섣불리 결정하기 어렵다는 점에 대해서도 같은 목소리를 내고 있다. 이유는 각자 다르다. 기업은 현 시점에서 정년만 늘릴 경우 인건비 부담이 크게 늘어 신규채용이나 투자 여력이 줄어 결국 경쟁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근로자는 새로운 인력 유입이 줄어 근로강도가 세지고 기존의 처우마저 하락할 것을 걱정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