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집 마련, 쉽지 않네”…레미콘 파업에 수분양자 ‘울상’
“내 집 마련, 쉽지 않네”…레미콘 파업에 수분양자 ‘울상’

레미콘 운송노조가 무기한 휴업에 돌입하자 수분양자들의 부실시공에 대한 걱정이 커지고 있다. 레미콘 노조 파업으로 공사가 지연되면 비용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는 구조다. 최근 건설업계가 원자재·인건비·고금리·경기침체 등 악재에 시달리고 있는 만큼 그 피해가 분양자에게 전가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비용을 줄이기 위해 공기 단축, 원가 절감 등에 나설 공산이 크다는 이유에서다.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산하 전국 레미콘 운송노동조합(수도권 레미콘 운송노조)이 무기한 휴업에 돌입했다. 수도권 레미콘 운송노조는 전날 수도권 사용자 단체(레미콘 제조사)에 올해 운송비의 통합 협상을 요구하며 무기한 휴업에 돌입했다. 운행을 멈춘 레미콘 차량은 8190대로 수도권 전체 레미콘의 74% 수준이다.


노조 측은 기존처럼 수도권의 레미콘 제조사를 하나로 통합해 한 번에 운반 단가 계약을 맺자고 요구하지만, 제조사 측은 최근 레미콘 운송노조를 노동조합법상 노조로 인정하지 않는다는 고용노동부 산하 지방·중앙노동위원회의 결정에 따라 협상에 응하지 않고 있다. 수도권에서 운행하는 레미콘 기사는 총 1만1000명 규모이며, 이 중 8400여명이 한국노총에 가입한 상태다.


노조는 성명을 통해 “수도권 사용자 단체에 지난 4월 이후 수차례에 걸쳐 올해 수도권 운송료 협상을 요구했다”며 “지난달 말 계약 종료일까지 협상을 회피하며 결국 운송 중단을 의도적으로 유도하고 있다”고 파업 돌입 배경을 밝혔다.

 

▲ 레미콘 운송 파업으로 인해 수도권 공사현장 대부분이 마비 상황이다. 사진은 레미콘 파업으로 멈춰선 공사현장. ⓒ르데스크

 

레미콘 운송 파업 시작과 함께 건설 현장도 함께 멈췄다. 이에 업계에서는 공사 기간 증가로 공사비가 더 상승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건설에 기초가 되는 레미콘이 멈추면 공사는 마비될 수밖에 없다”며 “공사기간이 길어지면 공사 비용은 물론이고 여러 가지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고 설명했다.


레미콘 노조 파업에 이미 분양계약한 수분양자들은 발만 동동 구르고 있다. 공사 기간이 늘어나면 입주 계획이 뒤틀릴 수 있고, 또 예정대로 공사가 마무리된다 해도 날림 공사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부동산 커뮤니티의 한 수분양자는 “안 그래도 요즘 건설업계 자체가 힘든데 레미콘 파업으로 공사 기간과 비용이 늘어나는 것 아니냐”며 “지금까지 건설업계 행보를 보면 공사 부담을 부실시공으로 메꾸는 식으로 분양자들에게 전가할 것 같다”고 말했다.


또 다른 수분양자는 “안그래도 건설업계가 힘든 상황인데 여기에 파업이란 악재까지 겹치면 지금 건설 중인 아파트 공사비가 증가할 수밖에 없다”며 “그렇게 되면 결국 건설사가 손해를 보던가 아니면 현장에서 단가를 낮추는 방향으로 갈 텐데 최근 아파트들의 부실공사 상황들을 보면 후자일 가능성이 높아 보여 걱정이다”고 말했다.

 

▲ 일부 아파트 수분양자들은 레미콘 파업이 자칫 부실시공으로 이어지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 사진은 공사중인 운정 아파트 단지 전경 ⓒ르데스크


실제로 지난해 검단에서 발생한 공공주택 지하주차장 붕괴 사고로 부실시공 문제가 부각된 이후 시공 하자 문제는 아직까지 현재 진행형이다. 5월 국토부가 준공을 앞둔 신축 아파트 23곳을 대상으로 긴급 점검에 나선 결과 무려 1,000여 건이나 하자가 적발됐다. 한 단지 당 약 40건 이상의 하자가 발생한 셈이다.


건설업계 부실시공과 하자가 급격하게 늘어난 이유는 공사비용 증가 원인이 가장 크다. 고금리 이자 원자재·인건비 상승으로 부담이 커진 건설사들이 수익을 만회하기 위해 저가 자재를 사용하거나 공사 기간을 단축시키며 품질이 떨어진 것이다. 레미콘 파업이 장기화될 시 공사비 부담이 늘어나고 이는 시공 품질을 더 크게 떨어트릴 수 있다.


전문가들은 이번 레미콘 파업이 장기화되면 공사 비용 증가를 피할 수 없는 만큼 부실시공에 감시도 강화해야 한다고 말한다. 최명기 대한민국산업현장교수단 교수는 “기본적으로 부실시공은 안전성보다는 경제성을 중심으로 검토를 하고, 원가 감축 측면에서 부실시공 행위를 했을 가능성이 높다”며 “소비자들과 시공사들이 품질과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길 수 있습니다.

채널 로그인

르데스크 회원에게만 제공되는 혜택이 궁금하신가요? 혜택 보기

르데스크 회원에게만 제공되는 혜택
- 평소 관심 분야 뉴스만 볼 수 있는 관심채널 등록 기능
- 바쁠 때 넣어뒀다가 시간 날 때 읽는 뉴스 보관함
- 엄선된 기사를 한 눈에 볼 수 있는 뉴스레터 서비스
- 각종 온·오프라인 이벤트 우선 참여 권한
회원가입 로그인
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