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효자 반도체 산업에 짙게 드리운 ‘친환경 리스크’
수출효자 반도체 산업에 짙게 드리운 ‘친환경 리스크’

글로벌 주요 기업들이 해외 고객사들에게 ESG(환경·사회·지배구조)를 압박하기 시작하면서 한국 산업계에 경고등이 켜졌다. 국내 기업들의 ESG에 대한 대비가 글로벌 기업들의 요구 수준에 못 미치고 있어서다. 특히 네덜란드 ASML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반도체 제조 기업들에게 신재생에너지 활용률 제고를 요청하고 나서면서 사태의 심각성이 더해지고 있다.

 

ASML은 반도체 극자외선(EUV) 노광장비를 제조하는 세계 유일이자 최대 기업이다. EUV 노광장비는 반도체 제조에 반드시 필요한 장비로 삼성전자부터 TSMC, 인텔 등 모든 반도체 기업들이 ASML 제품을 사용한다. 납품사지만 유일한 제조사인 탓에 모든 반도체 제조사들의 목줄을 쥔 ‘슈퍼 을’로 불리는 업체다. ASML의 신재생에너지 활용률 제고 요청으로 수출 효자 품목인 국내 반도체 산업의 타격 가능성이 언급되는 배경이다.

 

반도체 업계 ‘슈퍼 을’의 뼈 때리는 비교 “TSMC는 친환경 진전, 삼성전자는 어려워 보여”

 

관련업계 등에 따르면 ASML은 2020년 연례 보고서에 ‘스코프3’ 현황을 공개했다. 스코프3는 사업 운영은 물론 △공급망 △운송 △제품 사용 및 폐기 등 조직이 직접 소유하거나 통제하지 않는 자원으로부터 발생하는 온실가스를 모두 포함하는 탄소 배출 지표다. 해당 보고서에는 “2040년까지 고객사들의 탄소중립도 함께 달성하겠다”는 내용이 담겨있다.

 

▲ ASML 본사를 찾아 EUV 장비를 살펴보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사진=뉴시스]

 

ASML은 2022년 보고서에서 “네덜란드와 미국에선 100% 재생에너지 사용을 달성했지만 대만과 한국 반도체 기업은 여전히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로부터 1년 후 공개한 2023년 보고서에서는 “TSMC 등 대만 기업이 ESG 경영 방면에서 진전했다”고 평가한 반면 삼성전자 등 국내 기업에 대해서는 “아직 (ESG 경영) 어려움이 많다”고 지적했다.

 

해당 내용은 ASML이 고객사에 보내는 일종의 경고로 해석되고 있다. 2040년까지 고객사들의 탄소중립 달성을 천명한 만큼 목표에 부합하지 않는 기업에 대해서는 거래중단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탓이다. 이를 방증하듯 대만 TSMC는 전 세계 사업장의 RE100 달성 목표를 기존 2050년에서 ASML이 설정한 기한인 2040년으로 앞당겼다.

 

‘RE100은’ 사용 전력 100%를 재생에너지로 전환하는 캠페인이다. TSMC가 국내 기업들에 비해 ‘RE100’ 달성 속도가 빠른 이유는 재생에너지 발전업체에서 직접 전력을 구매하는 ‘전력구매계약(PPA)’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어서다. PPA는 재생에너지 발전소와 기업이 사전 동의된 기간 및 가격으로 전력을 구매하는 고정 계약이다.

 

기업은 글로벌 요구 맞추기에 진땀, 국내 환경은 신재생 에어지 보급률 평균 이하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국내 반도체 제조 기업들도 글로벌 흐름에 발맞추려는 시도에 나선 상태다. 삼성전자는 ‘2023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통해 지난해 글로벌 전체 전력소비량 약 2만8100GWh(기가와트시) 가운데 재생에너지 8704GWh를 사용해 재생에너지 사용 비중 31%를 달성했다고 밝혔다. 같은해 탄소포집연구소·미세먼지연구소 등을 통합한 ‘에어사이언스 리서치센터’를 신설하기도 했다. 

 

▲ 삼성전자는 ESG와 RE100 당성을 위해 다방면으로 노력하고 있다. 다만 국내 ESG 환경이 이를 뒷바쳐 주지 못하고 있단 지적이 나온다. 사진은 제55기 삼성전자 정기 주주총회에서 발언하는 한종희 부회장. [사진=삼성전자]

 

문제는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국제 사회에선 국내 기업의 RE100 달성 가능성을 여전히 회의적으로 보고 있다는 점이다. 환경 자체가 열악하다는 이유에서다. 당장 신·재생 에너지 보급률만 봐도 우리나라는 다른 나라에 비해 턱 없이 낮은 편이다. 에너지 전문 컨설팅업체인 ‘에너데이터’(Enerdata)에 따르면 2022년 한국의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은 8.1%로 44개 조사대상국 중 38위에 그쳤다. 44개국 평균 비중은 31.3%였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국내 기업의 탄소중립 노력의 진정성을 의심하는 시선까지 등장했다. 일례로 국제환경단체 그린피스는 ‘삼성전자 신환경경영전략 1주년 평가’ 보고서를 통해 “삼성전자는 재생에너지 사용 비중을 31% 안팎으로 주장하고 있지만 양이 아닌 질적으로 평가하면 실질적인 비중은 10% 이하일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했다.

 

최종원 연세대학교 경영학과 교수는 “ESG와 관련한 명확한 공시 기준이 없기 때문에 기업의 ESG 공시 수준이 투자자와 이해관계자의 요구에 충분히 부합하지 않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며 “더욱이 환경 자체가 열악하다 보니 탄소중립 등 ESG 경영에 있어 국제 사회가 요구하는 기준을 맞추기 힘든 물리적인 한계도 분명 존재한다”고 강조했다. 

PREMIUM SERVICE
OPINION NOW

사회 각 분야의 유명인과 관련된 디지털 콘텐츠 분석 자료를 제공합니다.
매일 12시(정오)에 업데이트 됩니다.

오피니언 나우 소개
댓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길 수 있습니다.

채널 로그인

르데스크 회원에게만 제공되는 혜택이 궁금하신가요? 혜택 보기

르데스크 회원에게만 제공되는 혜택
- 평소 관심 분야 뉴스만 볼 수 있는 관심채널 등록 기능
- 바쁠 때 넣어뒀다가 시간 날 때 읽는 뉴스 보관함
- 엄선된 기사를 한 눈에 볼 수 있는 뉴스레터 서비스
- 각종 온·오프라인 이벤트 우선 참여 권한
회원가입 로그인
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