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솟는 물가에 닫힌 지갑…생산자‧소비자 ‘장바구니 딜레마’
치솟는 물가에 닫힌 지갑…생산자‧소비자 ‘장바구니 딜레마’
▲ 소비자들은 할인행사 상품(23.0%), 할인매장 이용(19.8%), 농식품 우선순위 구매(18.0%), 동일 품목군 내 저가 상품 구매(13.1%) 등의 방식으로 농식품 물가 상승에 적응했다. 이와 함께 응답자의 88%가 물가 상승으로 스트레스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한 도매시장. ⓒ르데스크


지난해 연간 생산자물가가 8% 이상 뛰면서 14년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12월 생산자물가는 전월 대비 하락했지만 농림수산품은 상승했다. 경기연구원에서 조사한 결과 경기도민은 농축수산물 및 가공식품 소비자가격 상승을 체감하고 있다. 생산자물가 상승에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 고통에 피해받는 ‘장바구니 딜레마’에 빠졌다.


경기연구원에 따르면 경기도민 10명 중 4명은 급격한 물가상승으로 소비‧저축을 줄일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소득이 낮을수록 소비 등을 줄인 비중이 높았다. 물가 상승에 따른 고통이 취약계층, 한계기업에 가중된 것으로 분석됐다. 농식품 가격 인상과 가계의 농식품 구매력 감소로 농식품 소비 부담이 심화될 전망인 만큼 농식품 소비자와 생산자에 대한 동시 지원정책이 필요하다는 의견이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지난해 12월 생산자물가지수는 119.96(2015년 100기준)으로 전월 대비 0.3% 하락해 2개월 연속 내렸다. 2022년 생산자물가지수는 전년 대비 8.4% 상승했다. 생산자물가는 생산자가 시장에 공급하는 상품과 서비스 등의 가격 변동을 나타내는 통계로 소비자물가지수의 선행지표로 활용된다. 생산자물가는 일반적으로 1개월 정도의 시차를 두고 소비자물가에도 영향을 미치는 만큼 물가 상승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


생산자물가지수 중 농림수산품은 4.9% 올랐다. 농산물 8.2%, 수산물 3.1% 등이 올라 전월대비 4.9% 상승한 수치다. 식료품도 전월 대비 2.5% 상승했고 신선식품은 전월 대비 12.4% 상승했다. 생산자물가지수 중 전월대비 오른 품목은 오이(75.0%), 호박(73.8%), 닭고기(6.5%), 돼지고기(2.1%), 멸치(13.4%), 기타 어류(10.1%) 등이다.


경기도민 88% 물가 상승으로 스트레스 받는다


경기연구원이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급격한 물가상승으로 응답자의 43.4%가 소득 중 소비‧저축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가계 가처분소득’이 감소했다고 답했다. 특히 연소득 1000만~3000만원 미만 50.4%, 연소득 1000만원 미만 49.2% 등 낮은 소득구간일수록 심했다. 절반 이상인 57.0%는 식료품비(외식포함) 소비지출액 증가를 경험했다고 응답했다. 91.5%와 92.4%는 각각 농축수산물 및 가공식품의 소비자가격 상승을 체감했다. 응답자의 74.0%가 외식 물가 상승을 경험한 것으로 조사됐다.

 

▲ 생산자물가지수 중 농림수산품은 4.9% 올랐다. 농산물 8.2%, 수산물 3.1% 등이 올라 전월대비 4.9% 상승한 수치다. 식료품도 전월 대비 2.5% 상승했고 신선식품은 전월 대비 12.4% 상승했다. 생산자물가지수 중 전월대비 오른 품목은 오이(75.0%), 호박(73.8%), 닭고기(6.5%), 돼지고기(2.1%), 멸치(13.4%), 기타 어류(10.1%) 등이다. 사진은 한 대형마트. [사진=뉴스1]


소비자들은 할인행사 상품(23.0%), 할인매장 이용(19.8%), 농식품 우선순위 구매(18.0%), 동일 품목군 내 저가 상품 구매(13.1%) 등의 방식으로 농식품 물가 상승에 적응했다. 이와 함께 응답자의 88%가 물가 상승으로 스트레스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올해는 물가 상승률이 5%로 시작해 연말에 3% 정도로 내려갈 것으로 예상한다”며 “올해는 물가에 중점을 두면서 경기, 금융 안정과의 트레이드오프(trade-off·상쇄)도 면밀하게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서울외신기자클럽 간담회에 참석해 “지난해에는 물가 상승률이 5%에 달하면서 성장이나 부동산 시장을 걱정하기보다는 물가안정이 우선순위였다”고 밝혔다.


연구원은 국제원자재 수급 불균형과 원·달러 환율 상승 등 수입물가 급등으로 농식품 기업의 생산비 부담이 가중되나, 절반 이상인 51.6%가 소비자가격 상승에 부정적인 인식을 보였다. 농식품 기업의 생산비 부담 가중과 소비자의 농식품 구매력 저하 간 딜레마가 발견됐으며, 생산자와 소비자의 고통이 가중되고 있는 것으로 지적됐다.


이에 연구원은 농식품 수요자와 공급자에 대한 동시 지원 강화 전략으로 식품 소비 취약계층을 중심으로 식료품 현물을 지원, 지역의 소상공인과 소비자 연계 소비 활성화 정책, 경기도 농식품 유통 소상공인 금융 및 경영 지원을 통해 물가 상승 피해 최소화, 농식품 기업의 경쟁력 향상을 위한 수출역량 강화 지원과 R&D 투자지원 확대를 통한 공정과정 및 신제품 개발 혁신 유도 등을 제시했다.


김용준 연구위원은 “물가 상승에 따른 어려움은 취약계층 및 한계기업을 중심으로 확산하고 농식품 소비자와 생산자의 정책 수요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며 “농식품 물가 상승 안정화를 위해 농식품 소비자와 공급자를 동시에 고려한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댓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길 수 있습니다.

채널 로그인

르데스크 회원에게만 제공되는 혜택이 궁금하신가요? 혜택 보기

르데스크 회원에게만 제공되는 혜택
- 평소 관심 분야 뉴스만 볼 수 있는 관심채널 등록 기능
- 바쁠 때 넣어뒀다가 시간 날 때 읽는 뉴스 보관함
- 엄선된 기사를 한 눈에 볼 수 있는 뉴스레터 서비스
- 각종 온·오프라인 이벤트 우선 참여 권한
회원가입 로그인
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