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성 빠진 다문화, 중국·베트남 74% 쏠림현상 심화
다양성 빠진 다문화, 중국·베트남 74% 쏠림현상 심화
▲ 다문화 대상자 국적이 한쪽으로 쏠려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오면서 한국 사회 다양성을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사진은 한국 국적을 취득한 결혼이주여성이 눈물을 흘리자 딸이 닦아주고 있는 모습. [사진=뉴스1]

 

다문화 대상자 국적이 한쪽으로 쏠려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국과 비슷한 문화권의 나라 사람이 주를 이루고 있는 반면 영어권이나 이슬람권 등의 다문화 대상자는 상대적으로 그 수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쏠림 현상은 단일 문화권에서 비롯된 한국 사회의 다양성 부족으로 인한 것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법·제도에 대한 점검과 함께 타문화에 대한 다양성을 존중하는 인식 개선이 이뤄져야 진정한 다문화가 정착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지난해 다문화 대상자 국적 비중, 중국+베트남=73.9%…재작년과 비슷한 양상

 

최근 통계청이 발표한 ‘2021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국적별 다문화 대상자는 한국계 중국인이 12만4000명으로 32.2%를 차지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어 베트남 8만7000명(22.7%), 중국 7만3000명(19.0%) 등의 순이었다. 


지난해 다문화 대상자 국적 비중은 중국과 베트남만 합쳐서 73.9%를 차지할 만큼 몇몇 나라로 쏠려 있는데 재작년도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재작년 국적별 다문화 대상자를 보면 한국계 중국인이 12만781명으로 32.6%를 차지하며 가장 큰 비중을 나타냈고 다음으로 베트남 8만4996명(22.9%), 중국 7만724명(19.0%) 등 순이었다. 재작년도 역시 중국과 베트남만 합쳤을 때 74.6%를 차지할 만큼 다문화 대상자 국적 비중이 몇몇 나라로 쏠려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다문화 대상자 국적 비중이 중국 등 몇몇 나라로 쏠려 있는 현상은 한국의 단일민족 특성이 가지는 한계에서 비롯된 것으로 분석된다. 단일민족으로부터 나오는 단일문화, 단일언어 의식이 타문화권 사람에 장벽이 되면서 다양한 국적이 어우러진 다문화 공동체 형성을 어렵게 만들고 있다는 설명이다. 


우선 한국어가 외국인에게 언어적으로 엄청난 장벽으로 작용하고 있는 상황이다. 다문화가정이 한국에서 전통 문화 등을 잘 적응해가고 있지만 언어 소통에서 여전히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다문화가정 자녀 취학률이 낮은 이유도 한국어 구사 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영어 등 세계 어디서든 사용할 수 있는 언어가 있음에도 외국인에 한국어를 강요하는 부분이 문제라는 지적이 나오는 배경이다.  


종교적인 부분에서의 인프라도 중요한 부분으로 거론된다. 특히 만약에 한국이 이슬람 계열 다문화 대상자를 폭 넓게 받아들일 의지를 가진다면 현재보다 좀 더 이슬람 문화에 열린 사회를 조성하려는 노력을 해야만 한다는 설명이다. 해당 문화 계통 사람이 종교적인 신념을 지킬 수 있게끔 정부가 이슬람 사원 건축에 재정적인 지원 등을 한다면 한국에 이슬람 계열 다문화 대상자도 많아질 수 있다. 


법적인 부분에 있어서의 개선도 동반될 필요가 있다. 앞서 이슬람 문화 계열 사람은 하루에 대여섯 번은 절하는 의식을 거행 하는데 이런 의식을 고려하는 노동 환경을 구축할 법적 토대가 만들어질 수 있느냐도 관건이다. 프랑스 등 유럽을 보면 극단적 관용을 내세우는 바람에 타문화와 외려 융합이 실패한 사례도 있는 게 사실이지만 그렇다고 반대로 한국적인 현실만 강요하는 것도 문제가 있으므로 적당한 관용의 자세가 요구될 수밖에 없다.


정책적으로 소수민족 보호도 강화돼야 한다. 소수민족 보호란 국제법상 한 나라 안에서 인종, 종교, 언어, 풍습을 달리하는 소수민족이 누려야 할 권리를 보호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소수민족 보호도 역시 관련 의식이 낮게 깔려 있기 때문에 다문화를 위해 필요한 길이지만 여전히 갈 길이 먼 상황이다. 


양준석 교수(가톨릭대 경제학과)는 "한국에서 다문화 대상자 국적 비중이 다양해지려면 국내 문화를 뜯어고칠 수준으로 바꿔져야만 한다. 따라서 쉽지 않은 길임에 분명하다"며 "현재의 상황에서는 중국 등을 제외하곤 어떤 나라도 한국으로 오고 싶어 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언어 뿐만 아니라 문화, 종교, 법, 정책이 전부 변화가 이뤄져야 하는데 한국이 과연 그런 의지를 가지고 있는지 의문이다"며 "변화 의지가 없다면 현재의 수준, 그러니까 중국 등에서 태어난 한국인 2·3세의 후손인이 귀화하는 수준에서 다문화 가정이 유지될 것이다"고 덧붙였다.

댓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길 수 있습니다.

채널 로그인

르데스크 회원에게만 제공되는 혜택이 궁금하신가요? 혜택 보기

르데스크 회원에게만 제공되는 혜택
- 평소 관심 분야 뉴스만 볼 수 있는 관심채널 등록 기능
- 바쁠 때 넣어뒀다가 시간 날 때 읽는 뉴스 보관함
- 엄선된 기사를 한 눈에 볼 수 있는 뉴스레터 서비스
- 각종 온·오프라인 이벤트 우선 참여 권한
회원가입 로그인
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