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발생한 SK텔레콤 해킹 사고 관련 소비자들은 계좌 탈취 등 금융사기가 발생할 것을 가장 우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이동통신 전문 조사기관 컨슈머인사이트가 전국 14~64세 휴대폰 사용자 5059명을 대상으로 ‘SKT 유심 해킹 사태에 대한 소비자 인식 조사’를 진행한 결과 응답자 95%가 SKT 해킹 사건은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40대(97%)와 50대 이상(98%) 연령대에서는 거의 모든 소비자가 사고를 인지하고 있었다.
해킹 사태가 본인에게 미칠 영향에 대해서는 63%가 ‘우려한다’고 답했다. 특히 SKT 가입자의 ‘우려’ 비율이 73%로 가장 높았다. 다른 통신사인 KT(56%)와 LG유플러스(57%) 이용자 우려도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해킹 사태가 통신사에 관계 없이 많은 소비자가 이번 사태를 민감하게 받아들이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컨슈머인사이트는 분석했다.
가장 큰 우려 요소를 3개까지 꼽으라는 질문에는 응답자 87%가 계좌 탈취 등 금융사기를 꼽았다. 보이스피싱 등 범죄 악용(82%) 가능성, 휴대폰 불통(42%), 가상자산 계정 탈취(41%), 국가·사회적 보안 악영향(31%)에 대한 응답이 그 뒤를 이었다.
SKT가 이번 사태에 잘 대응하고 있다는 응답은 11%에 불과했다. 신속한 처리, 충분한 사고 대응과 보상, 소비자 입장에서 공감과 투명한 소통을 제대로 하고 있지 못하다는 응답은 70%에 달했다.
그간 이용자 만족도, 추천의향 등 핵심 소비자 지표에서 줄곧 1위를 차지하던 SKT는 이번 조사에서 3위로 밀려났다. 반면 소비자의 통신사 전환 의향률도 기존에는 가장 낮았으나 이번 조사에서는 가장 높게 나타났다.
댓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길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