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젠이 일방적으로 ‘뮤 오리진’의 갑작스러운 게임 서비스 종료로 비판을 사고 있다. 특히 환불 정책에 대한 비판 여론에 긴급히 수정안을 내놓았지만 이 또한 유저들의 만족을 사진 못하고 있다. 디지털 자산의 가치가 과거보다 훨씬 올라온 시대에 이에 대한 보호가 미비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웹젠은 뮤 오리진을 10월 15일 종료하겠다고 발표했다. 유저들이 보유한 유료 게임 아이템 '다이아'는 이날 기준으로 한 개당 22원씩 산정해 환불하겠다고 밝혔다. 그밖에 거래가 불가한 플러스 상점의 아이템, 유료 패키지 구매를 통해 얻은 귀속 다이아 등은 환불 대상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부연했다.
게임사의 일방적인 통보에 뮤 유저들은 크게 분노했다. 특히 오픈부터 게임을 즐겼던 유저들이 크게 반발했다. 지난 9년간의 시간, 자본, 노력이 하루아침에 사라졌기 때문이다. 해당 게임 커뮤니티에 따르면 오래된 일명 ‘고인물’ 유저들의 경우 적게는 수천만 원에서 많게는 억대까지 게임에 투자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저들이 가장 분통을 터트리는 부분은 웹젠의 기만적 태도다. 유저들은 웹젠이 해당 게임에 장기적인 콘텐츠를 도입하는 등 오랫동안 서비스를 지속할 것 같은 태도를 보였다고 주장한다. 그러기에 안심하고 게임에 대한 투자를 아끼지 않아 왔는데 한순간에 서버 종료를 밝힌 것은 유저들에 대한 배신이란 지적이다.
실제로 웹젠은 서비스 종료 공지 하루 전날인 12일에도 해당 게임 이벤트 업데이트를 진행했다. 해당 업데이트에는 유료 아이템 구매 및 사용을 유도하는 이벤트가 다수 포함돼 있던 것으로 나타났다.
또 웹젠이 서버 종료 결정을 내리기까지 유저들과 소통이 없었단 점도 도마에 올랐다. 만약 서비스 종료를 생각하고 있었다면 간담회 등을 통해서 뮤 오리진의 미래와 향후 전략에 대해 진지하게 소통했어야 했다는 지적이다. 결국 뮤 유저들이 ‘환불대책위원회’를 만들어 공정거래위원해에 신고하는 사태까지 벌어졌다.
이에 웹젠은 환불 대상 확대를 공지했다. 웹젠은 지난 5월1일부터 8월14일 점검 전까지 앱 스토어를 통해 현금결제한 모든 인앱 상품과 아이템과 관련 수령·사용 여부와 관계없이 전액 환불 처리하겠다는 방침이다. 공지 전 환불을 신청한 유저들도 해당 기간 결제분을 포함해 추가 환불을 진행한다.
다만 여론의 거센 비판을 잠재울지는 아직 미지수다. 웹젠의 보상 확대에도 불구하고 유저들은 만족하지 못하는 분위기다. 한 뮤 오리진 유저는 “그동안 이 게임에 사용한 금액만 수천만 원인데 겨우 3개월치 보상을 누구 코에 붙이냐”며 “아무리 그동안 즐긴 비용이라고 하지만 엄연히 내가 내 돈 주고 산 자산인데 게임을 살리려는 노력조차 하지 않은 게임사의 일방적인 결정으로 사라지는 것은 말도 안된다”고 밝혔다.
일각에서는 게임사 마음대로 정해지는 환불·보상에 대한 지적도 나온다. 또 다른 뮤 오리진 유저는 “간보다가 여론이 안좋아지니 환불 범위를 늘린 것을 보면 정말 엿장수 맘대로란 말이 딱 들어맞는다"라며 “명확한 기준이 없으니 처음에는 최소한의 보상으로 했다가 지금 와서 보상을 늘리는 행보를 보면 유저들에 대한 기만적 태도가 기본적으로 깔려있다”고 말했다.
게임 서비스 종료에 따른 디지털 자산 증발은 오래전부터 있어왔다. 다만 이전과 달리 게임 시장이 커지고 디지털 자산 가치가 상승해 해당 문제가 수면 위로 올라오기 시작한 것이다. 게임업계 안팎에서는 서비스 종료에 따른 유저들의 디지털 자산 보호할 명확한 기준과 매뉴얼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판교 소재의 게임사의 한 사업PM은 “게임사에 대한 규제는 많지만 대부분 셧다운과 탄압적 규제가 대부분이고 유저 보호를 위한 정책은 사실 별로 없다”며 “게임 시장규모를 고려하면 수많은 소비자들이 사실상 무법지대에 방치돼 있는 것과 다름없다”고 설명했다. 이어 “논란이 된 웹젠도 법적 문제가 없는 선에서 움직였다는 점이 게이머 보호에 대한 현주소를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전문가들 또한 웹젠 사태가 일어난 배경으로 명확하지 않은 디지털 자산 보호를 원인으로 꼽는다. 위정현 한국게임학회장은 “국내에는 아직 게임 소비자들의 자산을 보호하는 장치가 부족하다”며 “그래서 이러한 사각지대를 노리고 이익을 극대화하는 게임사들이 존재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제는 게임 및 디지털 자산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필요한 시점이다”고 말했다.
댓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길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