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국내 소비자들 사이에선 엔저(엔화가치 하락) 현상에 힘입어 일본 여행·쇼핑·음식 등이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다. 지난 2019년 한·일 간 무역 갈등을 계기로 국내에 휘몰아쳤던 일본 제품 불매운동 때와는 판이하게 다른 모습이다. 과거 어느 때보다 적극적으로 일본 상품을 찾고 국내보다 일본 여행을 선호하는 등 ‘예스 재팬’ 소비가 대세로 자리매김 했다.
일본에 대한 인식이 바뀌게 된 가장 큰 원인은 ‘경제성’ 때문이다. 엔저 현상으로 일본 제품의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해지자 그동안 주머니 사정 때문에 접하지 못했던 일본 문화를 접하려는 수요가 급격하게 늘어난 것이다. 국내 소비자들 사이에선 “과거의 역사는 기억하되 앞으로의 미래를 위해 이익이 되는 선택을 하겠다”는 인식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10% 저렴한데 당연히 YES 재팬이지” 역대급 엔저에 ‘메이드 인 재팬’ 매료된 한국인들
23일 일본정부관광국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일본을 방문한 한국인 관광객 수는 총 444만명으로 전체 외국인 관광객 중 25%를 차지했다. 외국인 관광객 4명 중 1명이 한국인이라는 의미다. 반대로 올해 상반기 국내 전체 출국자의 31.7%의 최종 목적지는 일본으로 출국자 중 대부분은 관광객이었다.
실제로 대한항공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인이 가장 선호했던 해외여행지 1위는 ‘일본 도쿄’로 한 해 동안 도쿄를 방문한 탑승객 수는 95만1113명에 달했다. 2위 태국 방콕(54만3821명)에 비해 2배 가량 높은 수준이다.
국내 소비재 시장에서도 ‘메이드 인 재팬’이 강세다. 관세청 수출입 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1~7월 일본 맥주 수입액은 3777만달러(원화 약 500억원)로 전년 동기 대비 66% 증가했다. 같은 기간 일본 위스키 수입액은 620만달러(원화 약 80억원)로 전년 대비 9.9% 늘었다. 2021년 한해 전체 수입액(316만달러)의 2배 수준이자 사상 최대치다.
패션·의류 제품도 예외는 아니다. 2018년 회계연도 기준 매출 1조3781억원을 기록하며 국내 의류시장 내 점유율 1위를 기록했던 유니클로는 2019년 당시 일본 불매운동의 직격탄을 맞아 매출(6298억원)이 반토막났다. 그러나 이후 국내 경제가 악화되면서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SPA 브랜드에 수요가 몰려 지난해 국내 의류 시장 점유율 1위를 되찾았다. 매출 역시 1조원을 재돌파했다.
앞서 후쿠시마 원전 처리수 관련 괴담으로 잠시 주춤했던 일본산 수입물 소비도 빠르게 늘고 있다. 해수부 수산정보포털 국가별 수출입 현황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일본산 수산물 수입량은 1만8082t으로 원전 처리수 방류 전인 지난해 상반기(1만5994t)보다 13.1% 증가했다. 증가율은 상반기 기준 2017년 이후 최고치다. 일본산 수산물의 수입 단가는 지난해 상반기 ㎏당 5.88달러에서 올해 상반기 ㎏당 4.56달러로 낮아졌다.
전문가들 사이에선 최근 국내 소비자들 사이에서 불고 있는 ‘예스재팬’ 열풍에 대해 합리적 소비를 추구하는 소비트렌드와 감정에 휩쓸리지 않는 객관적 판단을 선호하는 성향이 동시에 반영된 결과로 분석했다. 요즘 소비자들은 엔화 가치 하락을 알뜰 소비의 기회로 삼는 한편, 과거 일본이 저지른 만행에 대한 악감정은 별개로 기억하면 된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다는 설명이다.
23일 외환거래소에 따르면 오후 2시50분 기준 원·앤 재정환율은 100엔당 919.62원을 기록 중이다. 최근 일본 정부가 ‘역대급 엔저’를 막기 위해 17년만에 금리인상을 단행했지만 여전히 국내 상품에 비해 일본 상품이 저렴하다는 인식이 지배적이다.
직장인 정민재 씨(30·남)는 “국내 물가가 몇 년 사이 피부에 와 닿을 정도로 크게 올라 같은 돈이면 국내보다 일본여행을 가는 게 훨씬 저렴한 수준까지 왔다”며 “평균적으로 교통비를 제외하면 숙소·식비·대형마트 제품 등 대부분의 소비재가 일본이 싸다”고 말했다. 이어 “경제적 이익을 취할 수 있는 최고의 기회를 굳이 날릴 필요가 없다고 본다”며 “과거 일본의 만행을 알고 있지만 과거는 과거대로 기억하면 되고 앞으로의 미래는 우리가 이익이 되는 방향을 찾는 게 옳은 방법이라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서용구 숙명여대 교수는 “젊은 세대들은 과거 역사와, 현 정치 등을 본인의 취향과 분리해서 생각하는 게 체득이 돼 있다”며 “정치적, 역사적 이슈에 대한 생각은 갖고 있지만 본인의 소비 패턴을 변화시킬 필요는 없다고 생각하는 게 젊은 세대의 성향이다”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도 특별한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는 한 최대한 합리적으로 판단하려는 세태는 변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댓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길 수 있습니다.